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단순한 일잘러(일 잘하는 사람)’의 다섯 가지 특징 안녕하세요. 밤샘입니다. 저는 '단순한 일잘러'를 지향하면서 일하고 있어요. 단순한 일잘러 저는 약 15년 동안 크고 작은 기관에서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강의하는 사람입니다. 강의를 주업으로 삼은 지 벌써 4년이나 되었네요. 5년은 해보려고 해요. 감사하게도 직장 생활하면서 (동의하지 못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상사나 동료에게 일 잘한다는 말을 자주 들어왔습니다. 특별한 능력이 있지 않은 제가 왜 그런 말을 들을 수 있었는지 곰곰이 생각해 본 뒤, 직장 생활의 또 다른 중요 요소인 '인간관계'는 고려하지 않고 '일'과 관련해서만 정리해 봤습니다. (사내 정치와 낙하산 극혐) 단순한 일잘러의 특징 01 시간 관리 대학에 다닐 때부터 먼슬리를 사용했어요. 지금처럼 인쇄되어 나온 먼슬리가 아니라 엑셀로 A4 .. 더보기 스트레스 해소법 - 온라인 서점 '알라딘'에서 쇼핑, 고양이 그림책+알라딘 굿즈 안녕하세요. 밤샘입니다. 저는 스트레스 쌓일 때면 온라인 서점 '알라딘'에서 쇼핑합니다. 제 책상과 책장에는 '알라딘'에서 산 책과 굿즈가 많습니다. 고양이 관련 책 얼마 전에 고양이 관련 책을 여러 권 샀어요.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책 말고는 모두 그림책입니다. 너무너무 마음에 들어요. 꺅!!!!! 특히, 오른쪽 두 권이 마음에 듭니다. 그림책 내부에서 가장 마음에 장면이에요. 얼마 전에 샀던 고양이 책 중에 한 권인데요. 밤에서 새벽으로 넘어가는 시간과 고양이를 좋아하는 제 취향에 딱 맞는 책입니다. 알라딘 굿즈 책을 사는 것도 좋지만, 알라딘의 굿즈도 애용합니다. 생각보다 질이 안 좋아 실패했던 적도 있긴 하지만,대부분 만족했어요. 가 새겨진 굿즈 구경하는 재미도 쏠쏠해요. 포인트로 사거나 책의 사은.. 더보기 친절한 밤샘이 다녀온, 밤새먹소 안녕하세요. 밤샘입니다. 동네에 '밤새먹소'라는 고깃집이 생겨 다녀왔습니다. 동네에 식당이 생겼다 없어졌다 하던 곳이 있었는데 오랫동안 비워져 있었습니다. 코로나 여파로 그렇게 된 게 아닌가 싶어서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었죠. 얼마 전, 그곳에 '밤새먹소'라는 고깃집이 생겼습니다. 오픈빨이 있을 테니 사람 좀 빠지면 가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좀 지났음에도 주말이라 그런지 사람들이 꽤 많았어요. 폰 충전하면서 기다렸습니다. 저는 색 조합 중에서 블랙골드를 가장 좋아해요. 고기 굽는 연기가 빠지는 후드가 금색이어서 신기했습니다. 저는 처음 봤거든요. 기다리면서 찰칵! 자리에 앉아서도 찰칵! 사진으로는 잘 안 보이는데, 계단 벽(?)도 금색이었어요. 무슨 세트를 주문했습니다. (기억이 안 나요. ㅎㅎㅎ).. 더보기 날짜에서 연도만 바꾸기 - 바꾸기(Ctrl+H), DATE 함수와 수식 활용 안녕하세요. 밤샘입니다. 어제 오랜만에 '엑셀 기초 강의'를 했는데요. 강의가 끝나고 난 뒤, 날짜 중에서 연도만 바꾸고 싶다는 질문을 받았어요. 함수에 대해 배우기 전이라서 간단한 방법만 안내했기 때문에 오랜만에 겸사겸사 엑셀 관련 글을 올립니다. 텍스트만 바꾸기 2023년을 2022년으로 바꾼다면, ①변경할 셀 영역을 지정한 후, 바꾸기 단축키인 ②Ctrl + H를 누릅니다. ③열린 창에서 찾을 내용에 '23'을, 바꿀 내용에 '22'를 입력하고 ④모두 바꾸기를 클릭하면 ⑤연도가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가장 간단한 방법이죠. 단, 이 방법은 데이터에 '23일'이 있을 경우, 그것도 '22일'로 바뀐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23일'이 들어 있는 셀을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데이터가 적을 경우에.. 더보기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오픈톡방) 일정 관리 - 편리한 참석/불참 체크, 참석률 향상 안녕하세요. 밤샘입니다. 정기적인 회의나 모임에서 불특정 다수와 함께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오픈톡방)을 사용할 경우, 일정관리 기능을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관련 글] 카카오톡 오픈프로필 및 오픈채팅방(오픈톡방) 생성 및 공유 은근히 신경 쓸 일이 많은 출석 체크 대학 강의할 때 신경 쓰이는 업무 중의 하나는 출결 체크입니다. 요즘은 학생이 강의실에 도착한 후, 학교 앱을 통해 직접 전자 출결을 하니 출석을 부를 필요가 없을 것 같지만, 시스템 오류가 발생할 때도 있고 본인의 출석을 체크하지 않다가 '출석했는데 결석으로 되어 있다'라는 이의 신청을 하는 학생도 종종 있기 때문에 강의 중간이나 끝에 결석 학생들을 확인하곤 합니다. 이건 괜찮습니다. 첫 강의에서 한 학기동안 운영하는 오픈채팅방(오픈 톡방)을 .. 더보기 4년차 강사의 '대학 강의 평가' - 2020~2022년(3년) 안녕하세요. 밤샘입니다. 학기말에 학생들이 익명으로 작성하는 강의평가 결과 페이지를 열 때마다 떨리는데요. 평가해 준 학생들에게 고마운 마음을 담아 어느 대학의 강의 평가 결과를 정리해 봤습니다. 총평 코로나가 한창이던 2020년, 대학에서 강의를 시작했습니다. 직장에 다닐 때도 강의나 발표를 했던 경험이 많아서 강의하는 것 자체가 어렵진 않았으나, 텅 빈 캠퍼스를 걷는 것과 강의실에 혼자 앉아 ZOOM이나 MS teams 등으로 실시간 강의를 하는 것이 어려웠습니다. 학생들과의 소통이 중요한 실무 강의여서 더 그랬을 거예요. 직접 알려주면 바로 이해할 수 있는 건데, 비대면으로 설명하는 게 쉽지 않더라고요. 그래서 강의 자료를 더 성심성의껏 준비했고, 영상도 업로드해서 학생들이 원하는 시간에 복습할 수.. 더보기 2023년 계묘년은 '토끼 해'? '고양이 해'? - 육십갑자, 천간(십간)과 지지(십이지), 검은 토끼 해 안녕하세요. 밤샘입니다. 2022년 '검은 호랑이 해'가 갔습니다. 검은색과 고양잇과 동물을 좋아해서 나름 기분 좋게 시작한 '검은 호랑이 해'였지만, 정신적으로 힘든 일이 너무 많았어요. 2023년 '검은 토끼 해'에는 좋은 일만 가득했으면 좋겠네요. 계묘년? 검은 토끼 해? 2023년은 왜 '계묘년(癸卯年)'이고, '검은 토끼 해'일까요? 이런 식으로 새해가 불리는 이유는 육십갑자(六十甲子)를 살펴보면 알 수 있어요. 육십갑자는 10개의 천간(天干)인 '십간'과 12개의 지지(地支)인 '십이지'를 순서에 따라 조합하여 만든 60개의 간지(干支)를 의미합니다. 나이가 같은 사람, 즉, 출생 연도가 같은 사람을 '동갑(同甲, 태어난 간지의 해가 같음)'이라 하고, 만 60세가 되면 환갑(還甲, 태어난 간.. 더보기 디스플레이 설정 방법 - 모니터 위치 변경, 주 모니터 지정 +(LG 와이드 모니터, LG 그램), 작업 환경 최적화, 작업 공간 정리 안녕하세요. 밤샘입니다. 저는 여러 자료를 참고하면서 문서 작성이나 데이터 분석을 주로 하다 보니 노트북에 모니터를 연결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어수선한 책상 정리를 하면서 노트북과 모니터 위치를 바꿨는데요. 그래서 디스플레이 설정을 다시 했어요. 노트북과 모니터 위치 변경 저는 책상에 앉았을 때 벽 보는 것보다 벽을 등지고 앉는 것을 좋아하고, 누군가 방문을 열었을 때 모니터 화면이 아니라 모니터 뒷면이 보이는 것을 선호합니다. 그래서 제 방의 책상은 등을 벽에 기댄 형태로 배치하곤 해요. 처음에 이렇게 놓겠다고 하면, 좁은 방이 더 좁아 보이게 왜 그렇게 배치하냐고 뭐라 하는 사람이 많지만, 사용하는 것을 보고 나면 좋아 보인다고 합니다. 뭐든지 자신이 일하기 편한 게 최고예요. 그동안 모니터.. 더보기 이전 1 ··· 4 5 6 7 8 9 10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