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밤샘공부방/활용_EXCEL

[엑셀] 수식 구조 - 산술 연산자, 문자 연산자, 비교 연산자, 참조 연산자

728x90
728x90

안녕하세요. 밤샘입니다.

 

엑셀을 활용할 때,

어려운 함수를 사용하는 것보다

간단하게 수식을 사용하는 것이

더 편리할 때가 많습니다.

 

 

 

  수식 구조  

수식은 다음 그림과 같이,

'등호(=)', '피연산자', '연산자'로 구성됩니다.

결과값을 나타낼 셀에 '등호'를 입력한 후,

'피연산자' 사이에 '연산자'를 입력하는 거죠.

 

'피연산자'에는 숫자, 셀 주소, 정의된 이름 등

참조할 데이터가 들어가며,

'연산자'는 네 종류(산술, 문자, 비교, 참조)가 있습니다. 

 

 

수식을 잘 활용하면 원하는 결과를 쉽게 얻을 수 있고,

엑셀 활용 폭을 넓힐 수 있습니다.

제가 학생들에게 함수를 알려 주기 전에,

수식 구조와 각 연산자에 대해 먼저 알려주는 이유예요.

 

 

  1. 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자는 계산을 위한 연산자로,

[+], [-], [*], [/], [%], [^] 등이 있어요.

 

결과값을 나타낼 셀에 '등호'를 입력한 후,

계산할 숫자 데이터 사이에 산술 연산자를 입력해요.

 

예를 들어, '1'과 '2'라는 데이터를 계산할 때

셀에 직접 숫자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데이터가 들어 있는 셀(참조할 셀)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사용하다 보면, 후자가 더 편하고

데이터 오류도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어요.

데이터가 변경되더라도 수식을 바꿀 필요가 없으니까요.

 

 

  2. 문자 연산자  

문자 연산자는 문자 데이터를 잇는 연산자로, [&]가 있어요.

말 그대로 문자 데이터를 이어서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밤'과 '샘'이라는 데이터를 이을 때 

셀에 직접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데이터가 들어 있는 셀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숫자 데이터를 계산할 때와 차이점은

문자 데이터 양 옆에 큰따옴표(")를 넣는 것인데요.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는 규칙이니 잊지 마세요.

 

일일이 큰따옴표(")를 넣는 것보다는

데이터가 들어 있는 셀(참조할 셀)을 선택하는 것이

더 편하겠죠?

 

 

참고로, CONCATENATE()라는 함수를

문자 연산자 대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영상을 참고하세요.

 

[밤샘_엑셀] 7-1. 텍스트 함수① CONCATENATE, TEXT, TEXTJOIN, PHONETIC

 

 

  3. 비교 연산자  

비교 연산자는 데이터를 비교하는 연산자로,

[=], [>], [<], [>=], [<=], [<>] 등이 있으며,

연산자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두 값을 비교하여 참과 거짓을 구분할 때,

비교 연산자를 사용하면 좋아요.

저는 오타나 오류를 확인할 때 자주 사용합니다.

 

 

  4. 참조 연산자  

참조 연산자는 셀을 참조하거나

셀 범위를 결합할 때 쓰는 연산자로,

[:], [,], [ ] 등이 있으며,

각 연산자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해를 돕고자 '각 참조 연산자'를 활용하여

'같은 결과값'을 나타내는 예시를 들었으니 참고하세요.

 

 

 

★ 참고 영상 

 

 

수식 구조와 각 연산자를 잘 습득해서

엑셀 활용 폭을 넓히길 바랍니다.

 

방문해주신 모든 분들, 고맙습니다.

오늘 하루도 수고 많으셨어요.

 

320x100